2024 문화다양성 주간 정책포럼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20주년 기념 포럼

올해 문화다양성의 주제를 다룬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토론을 통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합니다.

기념 포럼 개요


· 일시
  • 2025. 5. 23.(금) 14:00 ~ 16:00
·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
· 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 주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주제
  • 디지털/AI 전환 시대의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타임테이블

시간 내용
14:00~14:15
(‘15)

[인사말씀]

- 개회사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장
- 환영사 :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 축사(영상) : 유네스코 문화사무총장보
- 축 사 : 문화다양성위원회 위원장

14:15~14:30
(‘15)

[주제발표 1]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20주년: 디지털·AI와 문화다양성

- 김정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
- 디지털·AI 전환 시대, 새로운 역량과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유네스코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AI 검토그룹 동향을 통해 국제적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는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 노력을 살펴보고, 국내 환경 및 활동과의 연계성을 모색해본다.

14:30~14:45
(‘15)

[사례발표 1]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1. 기업 × 예술

- 김태윤 (현대자동차그룹 제로원(ZER01NE) 책임매니저, 미디어예술 작가)
- 미래를 움직이는 예술, 다양성의 가치를 묻다. 새로운 아이디어에서 창작으로, 기술로, 삶을 가치 있게 변형시키는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용하고, 창작의 경계와 영토를 넘어 사고하는 일이 필요하다. 예술-기술-기업이 연결될 때 무엇이 확장되고, 다양한 아이디어는 어떻게 연결되고 그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지 4가지 프로젝트를 통해 살펴본다.

14:45~15:00
(‘15)

[사례발표 2]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2. 이야기 × 창작

- 민지은 (작가, 드라마 검법 남녀, 소방서 옆 경찰서 집필)
- 콘텐츠 창작과 문화다양성 사이를 가로지르는 창작자의 태도와 가능성은 무엇이며,. 다양한 이야기와 서사가 가능하려면 어떤 태도와 작업 방식으로 임해야 할까. 다양한 소재와 스토리를 통해 사회적 다양성과 공공성, 갈등과 화합이라는 주제를 표현해 온 작가로부터 문화콘텐츠 창작의 다양성을 논해본다.

15:00~15:15
(‘15)

[사례발표 3]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3. 인공지능(AI) × 영화

- 이진호 (영화 감독, <액션 히어로>, AI 영화 <아트 인 더 월드> 제작)
- ‘문화예술, 미래 AI의 서사를 만들다.’ AI를 통한 제작과 표현의 변화, 젊은 창작자를 위한 도전과 가능성 등 영화 창·제작에서 AI는 어떤 의미로 어떻게 작용할까. AI와 영화 창작의 관점에서 미래를 가늠하며, 창작자와 향유자를 위한 문화다양성의 의미와 가치, 내용과 형식에 대해 이야기해본다.

15:15~15:30
(‘15)

[사례발표 4]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4. 인공지능(AI) × 문화콘텐츠

- 백현정 (CJ ENM AI 사업추진팀장)
- 인공지능 전환 시대의 창작 그리고 표현의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창작자와 제작자에 기술의 진보만큼의 역량과 창조성이 요구된다. 다양한 기술의 활용을 형성, 지지해온 기업이 바라보는 가치사슬의 변화와 콘텐츠 사업의 진화는 어디까지일까. 창작자와 정책 설계자를 위해, 뛰어넘어야 하는 도전, 다양성 보호와 증진을 위한 가능성의 지도를 그려본다.

15:30~16:00
(‘30)

[종합토론] 디지털·AI 전환시대,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한계와 미래 가능성은?

- 진행: 이진준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 대담자: 발제자 전원

참가신청하기​